-
[03/04] 라즈베리 [raspberry; (학명) Rubus]손 가는 대로/꽃, 식물 2020. 3. 4. 01:24728x90
[03/04] 라즈베리 [raspberry; (학명) Rubus]
학명(學名, binomial name): Rubus
이명: 라즈베리, 나무딸기, 산딸기
계(界, Kingdom): 식물계(Plantae)
문(門, Division): 속씨식물문, 현화식물문(Magnoliophyta), 피자식물문(Angiospermae)
강(綱, Class): 쌍떡잎식물강(Anthophyta), 쌍자엽식물강(Dicotyledoneae)
목(目, Order): 장미목(Rosales)
과(科, Family): 장미과(Rosaceae)
속(屬, Genus): 산딸기속, 나무딸기속(Rubus)
종(種, Species): Rubus idaeus 등 700종
열매(Fruits): 붉은색, 검정색, 자주색 등꽃말: 애정(affection)
라즈베리는 여러 종이 있으며, 유럽에서는 불가투스(Rubus idaeus var. vulgatus)를, 미국에서는 스트리고수스(R. i. var. strigosus)와 옥시덴탈리스(Rubus idaeus var. occidentalis)를 주로 재배한다고 합니다.
속명인 루부스(Rubus)는 라틴어 ruber에나 나왔으며 붉은색(red)을 의미합니다. 꽃 색깔과 열매 색깔에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그렇다고 붉은 색만 있는 것은 아니며, 열매의 빛깔에 따라 붉은색, 검은색, 자주색 등의 종류가 있습니다. 보통 곧게 자라는 종에는 붉은 색 열매가 달리고, 흑색과 자주색 열매가 달리는 종은 가지가 옆으로 처집니다. 그 외에 황백색으로 익는 열매도 있습니다.
● 나무딸기 [raspberry; (학명) Rubus idaeus]
학명(學名, binomial name): Rubus idaeus var. concolor, Rubus sachalinensis 등
이명: 나무딸기, brambles, 라스베리, raspberry, red raspberry, European red raspberry
계(界, Kingdom): 식물계(Plantae)
문(門, Division): 속씨식물문, 현화식물문(Magnoliophyta), 피자식물문(Angiospermae)
강(綱, Class): 쌍떡잎식물강(Anthophyta), 쌍자엽식물강(Dicotyledoneae)
목(目, Order): 장미목(Rosales)
과(科, Family): 장미과(Rosaceae)
속(屬, Genus): 산딸기속, 나무딸기속(Rubus)
종(種, Species): Rubus idaeus, Rubus sachalinensis 등
개화(開花, Florescence): 6~7월; 흰색
열매(Fruits): 붉은색나무딸기라고 하면 유럽산 라즈베리(European red raspberry)라고도 불리는 Rubus idaeus 종을 이야기하기도 합니다.
● 멍덕딸기 [raspberry; (학명) Rubus idaeus]
학명(學名, binomial name): Rubus idaeus var. microphyllus
이명: 복금자딸기, 곰의딸
계(界, Kingdom): 식물계(Plantae)
문(門, Division): 속씨식물문, 현화식물문(Magnoliophyta), 피자식물문(Angiospermae)
강(綱, Class): 쌍떡잎식물강(Anthophyta), 쌍자엽식물강(Dicotyledoneae)
목(目, Order): 장미목(Rosales)
과(科, Family): 장미과(Rosaceae)
속(屬, Genus): 산딸기속, 나무딸기속(Rubus)
종(種, Species): Rubus idaeus
개화(開花, Florescence): 6~7월; 흰색
열매(Fruits): 붉은색한국의 남쪽에서 자라는 멍덕딸기 역시 유럽산 라즈베리와 같은 종입니다.
● 산딸기(나무) [raspberry; (학명) Rubus crataegifolius]
학명(學名, binomial name): Rubus crataegifolius
이명: 나무딸기, 라스베리, raspberry, 나무딸기, 산딸기나무, 흰딸, 참딸, 복분자, 覆盆子, hawthorn-like raspberry, Korean raspberry
계(界, Kingdom): 식물계(Plantae)
문(門, Division): 속씨식물문, 현화식물문(Magnoliophyta), 피자식물문(Angiospermae)
강(綱, Class): 쌍떡잎식물강(Anthophyta), 쌍자엽식물강(Dicotyledoneae)
목(目, Order): 장미목(Rosales)
과(科, Family): 장미과(Rosaceae)
속(屬, Genus): 산딸기속, 나무딸기속(Rubus)
종(種, Species): Rubus crataegifolius
개화(開花, Florescence): 4~7월; 흰색
열매(열매, Fruits): 6~8월; 짙은 붉은색종소명 크라테지폴리우스(crataegifolius)는 산사나무 잎을 닮았다는 뜻이라고 하며, 일본명 구마이찌고(熊苺, クマイチゴ, 웅매)는 곰이 먹는 딸기 또는 거친 야생의 딸기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사람도 먹을 수는 있지만, 억센 가시도 많고 딸기 열매가 그리 풍성하지도 않기 때문에 곰이 먹는 딸기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 복분자딸기 [raspberry; (학명) Rubus coreanus]
학명(學名, binomial name): Rubus coreanus
이명: 복분자, 覆盆子, 복분, 覆盆, bokbunja, Korean blackberry, Korean bramble
계(界, Kingdom): 식물계(Plantae)
문(門, Division): 속씨식물문, 현화식물문(Magnoliophyta), 피자식물문(Angiospermae)
강(綱, Class): 쌍떡잎식물강(Anthophyta), 쌍자엽식물강(Dicotyledoneae)
목(目, Order): 장미목(Rosales)
과(科, Family): 장미과(Rosaceae)
속(屬, Genus): 산딸기속, 나무딸기속(Rubus)
종(種, Species): Rubus coreanus
개화(開花, Florescence): 5~6월; 분홍빛
열매(열매, Fruits): 7~8월; 붉은색복분자라고 하면 원래 Rubus coreanus인 복분자딸기 열매를 일컬었으나, 점차 산딸기의 열매도 같은 이름으로 함께 쓰이게 되었습니다.
옛날 신혼부부가 있었는데 남편이 이웃마을에 볼 일을 보고 돌아오다가 길을 잃게 되어 배가 고파서 길가에 있던 덜익은 복분자딸기를 따 먹었습니다. 다음날 아침 일어나서 소변을 보러 화장실에 갔는데 소변줄기가 너무 힘이 세어 오줌항아리가 뒤집어지고 말았답니다. 그래서 뒤집어진다는 뜻의 '복(覆)'과 항아리라는 뜻의 '분(盆)'을 합해 '복분자(覆盆子)'라는 이름이 생겼다고 합니다.
남자의 정력감퇴 현상을 개선시키는 데 현저한 효과를 나타낸다고 전해집니다. 또한, 간기능 감퇴로 인한 시력감퇴와 물체가 모호하게 보이는 것을 개선시키는 데에도 효력이 있다고 합니다. 약으로 쓸 때에는 완숙한 것보다 덜 익은 것을 사용해야 효력이 높다고 하며, 정력이 과다한 사람은 복용치 않는 것이 좋다네요.
● 멍석딸기 [small-leaved raspberry; (학명) Rubus parvifolius]
학명(學名, binomial name): Rubus parvifolius
이명: 멍석딸기, 멍딸기, 덤풀딸기, 번둥딸나무, Japanese bramble, Australian raspberry
계(界, Kingdom): 식물계(Plantae)
문(門, Division): 속씨식물문, 현화식물문(Magnoliophyta), 피자식물문(Angiospermae)
강(綱, Class): 쌍떡잎식물강(Anthophyta), 쌍자엽식물강(Dicotyledoneae)
목(目, Order): 장미목(Rosales)
과(科, Family): 장미과(Rosaceae)
속(屬, Genus): 산딸기속, 나무딸기속(Rubus)
종(種, Species): Rubus parvifolius
개화(開花, Florescence): 5~7월; 분홍색, 홍자색
열매(열매, Fruits): 7~8월; 붉은색멍석딸기의 종소명 파르비폴리우스(parvifolius)는 잎이 작다는 의미입니다.
Image: Rubus idaeus (raspberry)
Date: 14 July 2013
Author: AnRo0002
Source: Wikimedia Commons in the public domain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20130714Himbeere_Schwetzinger_Hardt2.jpg728x90'손 가는 대로 > 꽃,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03/06] 데이지 [daisy, English daisy; (학명) Bellis perennis] (0) 2020.03.06 [03/05] 수레국화 [cornflower, 센토레아; (학명) Centaurea cyanus] (0) 2020.03.05 [03/03] 자운영 [紫雲英; Astragalus] (0) 2020.03.03 [03/02] 미나리아재비 [라넌큘러스, buttercup, (속명) Ranunculus] (0) 2020.03.02 [03/01] 수선화 [水仙花, narcissus] (0) 2020.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