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3/19] 치자나무 [梔子, gardenia, cape jasmine; (학명) Gardenia jasminoides]손 가는 대로/꽃, 식물 2020. 3. 19. 01:36728x90
[03/19] 치자나무 [梔子, gardenia, cape jasmine; (학명) Gardenia jasminoides]
학명(學名, Binomial name): Gardenia jasminoides
이명(異名): 치자수, 담복, 황치자, 黃梔子, 산치자, 치자, 梔子, 수치자, 水梔子, gardenia, cape jasmine, cape jessamine, danh-danh, jasmin
계(界, Kingdom): 식물계(Plantae)
문(門, Division): 속씨식물문, 피자식물문(Angiospermae), 현화식물문(Anthophyta, Magnoliophyta)
강(綱, Class): 쌍떡잎식물강, 쌍자엽식물강(Dicotyledoneae), 목련강(Magnoliopsida)
목(目, Order): 꼭두서니목(Rubiales), 용담목(Gentianales)
과(科, Family): 꼭두서니과(Rubiaceae)
속(屬, Genus): 치자나무속(Gardenia)
종(種, Species): Gardenia jasminoides
개화(開花, Florescence): 6~7월; 노랑색, 흰색꽃말: 한없는 즐거움(Endless pleasure); 순결(純潔, purity), 행복(幸福, happiness), 청결(淸潔, cleanliness); 비밀의 사랑(secret love), 즐거움(joy), 달콤한 사랑(sweet love), 행운(good luck) | 03/19
치자나무라 함은 그 열매의 모양이 중국에서 술을 담는 그릇[扈]과 흡사하여서 치(扈)가 나무에 달렸다고 해서 목자(木字)를 붙여 치(梔)를 만들고, 그 열매를 뜻하는 子를 붙여서 치자목(梔子木)이라 이름을 붙였다고 합니다.
종소명의 jasminoides는 재스민과 향이 비슷하여서 붙여졌다고 합니다.
영어 이름인 cape jasmine이나 cape jessamine은 초기에 남아프리카 희망봉(Cape of Good Hope, South Africa)에서 유래되었다는 생각때문에 붙여졌다고 합니다.
옛 시인들은 치자의 꽃을 명화(名花)의 대열에 끼워서 그 정아(淨雅)한 모습과 선향(禪香)을 일러 운치 있는 꽃으로 손꼽았다고 합니다.
중국 송(宋)나라의 삼여췌필(三餘贅筆)에 증단백(曾端伯)이 택한 화십우(花十友)가 전해 지고 있는데, 치자(梔子)는 선우(禪友)라고 하여 명화(名花)로 손꼽고 있었습니다. 다미(茶靡) 운우(韻友), 말리(茉莉) 아우(雅友), 서향(瑞香) 수우(殊友), 하화(荷花) 정우(淨友), 암계(巖桂) 선우(仙友), 해당(海棠) 명우(名友), 국화(菊花) 가우(佳友), 작약(芍藥) 염우(艶友), 매화(梅花) 청우(淸友), 치자(梔子) 선우(禪友)라고 하여 치자를 참선하듯 맑은 친구로 명화(名花) 중 하나로 꼽았다고 합니다. 일설에는 납매(臘梅) 기우(奇友), 포도(葡萄) 선우(禪友), 난(蘭) 방우(芳友)가 들어가고 말리(茉莉), 작약(芍藥), 치자(梔子)가 없다고도 합니다.
조선 세종(世宗)의 셋째 아들인 안평대군(安平大君)은 고아(高雅)한 것에 매란국죽(梅蘭菊竹), 염려(艶麗)한 것에 목단(牡丹), 해당(海棠), 청초(淸楚)한 것에 옥잠화(玉簪花), 목련(木蓮), 치자(梔子)를 들었다고 합니다.
조선 세조 때 강희안(姜希顔)이 쓴 원예서인 양화소록(養花小錄)에서 강희안은 치자(梔子)의 네 가지 아름다움을 들고 있는데 첫째는 꽃빛이 흰 것(白花)이고, 둘째는 향기가 맑은 것(淸香)이고, 셋째는 겨울에도 낙엽지지 않는 상록의 잎(常錄葉)의 윤채나는 싱싱함이고, 넷째는 열매가 누런 물감으로 쓰이는(實染料)것라 하며, 꽃 중에서 가장 귀한 것이라고 극찬하였다고 합니다.
Image: Gardenia jasminoides
Date: 9 October 2016
Author: Judgefloro
Source: Wikimedia Commons in the public domain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03908jfPasong_Tamo_Creek_Linear_Park_Quezon_Cityfvf_04.jpg
Camera location: 14° 40′ 01″ N, 121° 02′ 20″ E
Decimal: 14.666944, 121.038889728x90'손 가는 대로 > 꽃,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03/21] 호야 [Hoya] (0) 2020.03.21 [03/20] 보라색 튤립 [purple tulip, (속명) Tulipa] (0) 2020.03.20 [03/18] 아스파라거스 [멸대, 열대, asparagus, (학명) Asparagus officinalis] (0) 2020.03.18 [03/17] 세잎클로버 [three-leaf shamrock, three-leaf clover] (0) 2020.03.17 [03/17] 콩 [beans, 대두, 大豆, soybean; Glycine max] (0) 2020.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