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리테일과 호텔: 국내 vs 해외
    손 가는 대로/부동산 2015. 9. 20. 16:34
    728x90
    리테일과 호텔: 국내 vs 해외런던과 뉴욕 부동산의 급등. 그 배경 중 하나는 외국인입니다. 전세계인이 찾는 도시.혹자는 이를 들어 런던과 뉴욕 부동산 시장의 취약성과 거품론을 이야기하기도 합니다.하지만, 여행이든 부동산 투자이든 뉴욕이나 런던에서 외국인들의 발길이 끊기는 것과 한국에서 중국인들의 발길이 끊기는 것. 어느게 더 발생 가능성이 크고, 충격이 클까요?(1) 중국이라는 한 나라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도시와 전세계인들이 찾고 싶은 도시. (2) 첫 여행이어서 찾지만 다시 찾고 싶지 않은 도시와 여러번 찾게 되고, 찾고 싶은 도시. (3) 스스로 패셔너블하고 유행에 민감해 전세계에서 주북하는 도시라 말하지만 실상은 다른 나라보다 비싼 가격에 너도 나도 해외 직구에 나서는 도시와 전세계 주요 업체들이 플래그 쉽 스토어를 만들고 싶어하는 도시.국내에서도 위험한 리테일이나 호텔을 어떻게 해외에서 하느냐고도 하지만, 리테일과 호텔의 경우 환 리스크만 아니면 오히려 국내 보다 안전할 수도 있습니다.중국이 망하면 해외 여행객 감소로 타격을 받게 되고, 중국이 부유해지면 굳이 한국을 안 오고 더 멀리 가게 되는 리스크. 아직은 중국인들이 한국에 와서 물건을 사지만 계속 구매력이 증가하게 되면 중국 내에서 훨씬 저렴하게 팔게 될 리스크.(1) 명동이나 제주도가 끊임없는 변화로 경쟁력을 유지할 수도 있을테고, (2) 중국인이 떠난 한국의 경제를 바라지도, 상상하고 싶지도 않지만, 리테일과 호텔 부문에서 서울의 취약점을 생각하면, 해외 부동산을 잘 선택하면, 국내 부동산 보다 덜 위험한 투자가 될 수 있습니다.
    728x90

    '손 가는 대로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경제와 부동산  (1) 2015.11.19
    글로벌 부동산  (0) 2015.11.17
    메자닌과 에쿼티  (0) 2015.09.11
    메자닌  (0) 2015.09.10
    Cap rate와 net initial yield (2)  (0) 2015.08.31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