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자산운용 수필 (13) 대안투자 (Alternative Investments) : Hedge Fund ①
    손 가는 대로/자산운용수필 2008. 6. 30. 15:38
    728x90
    자산운용 수필 (13) 대안투자 (Alternative Investments)
     
    대안투자는 주식, 채권과 같은 전통적인 투자안에 대비된 개념으로
    사람들 마다 대안투자로 보는 기준이 다릅니다.
     
    광의로는 전통적인 주식, 채권을 제외한 모든 투자안을 의미하며
    이 기준으로 대안투자를 분류하게 되면
    ABS계열 및 파생계열 등 구조화된 상품 등도 모두 포함하게 됩니다.
    그러나 이렇게까지 넓게 보면 대안투자로 묶는 의미가 크지 않게 됩니다.
     
    그 외에 경제활동에 따라 대안투자를 분류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대안투자를 대안적 자금조달, 대안적 투자대상, 대안적 투자전략으로 나누어 봅니다.
     
    자금조달 방법의 다양화라고 할 수 있는 대안적 자금조달로
    Private Equity, Private Debt, Venture Capital,
    Vulture Capital(Distressed Debt) 등을,
    혹자는 여기에 High Yield Bond/Loan이나 Microcap Stock 등도 포함시킵니다.
     
    투자대상을 다양화한 대안적 투자대상으로
    부동산, 귀금속, 비금속, 에너지, 농산물 등을,
     
    투자전략를 다양화한 대안적 투자전략으로
    헤지펀드, Fund of Funds, Managed Futures 등을 대안투자로 보게 됩니다.
     
    이론상으로 대안투자는 기존 자산과의 상관관계가 낮아
    포트폴리오 편입시 리스크를 줄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사람 마다 다르지만 적정 수준의 대안투자 보유비중에 대한 연구결과에서는
    대안투자 전체의 exposure는 전체 투자자산의 10~20% 선이 적당하다고 보며,
    그 중 헤지펀드의 비중은 전체 투자자산의 3~20%선으로
    대안투자안 중 가장 많습니다.
     
    헤지펀드 (Hedge Fund)
     
    대안투자 중 대표적인 것은 헤지펀드일 겁니다.
    헤지펀드는 다양한 상품을 대상으로 다양한 투자기법을
    하나 또는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변동성을 최소화 하면서
    수익을 극대화하려는 펀드를 지칭합니다.
    수익 변동성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시장상황과 관계없는 일정수준의 절대적 수익을 추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합니다.
    헤지펀드가 사용하는 투자기법은 매우 다양하며
    펀드별 특정적인 투자기법을 사용하기도 하고,
    특정되지 않은 다양한 투자기법을 사용하거나,
    투자기법을 펀드수익자에 알리지 않고 중간에 자유로이 바꾸기도 합니다.
     
    헤지펀드를 판매하는 브로커의 말이기는 하지만
    헤지펀드의 특징으로는 높은 수익과 낮은 변동성이 이야기 됩니다.
    실제로도 헤지펀드의 과거 실적은
    대부분 높은 return과 낮은 vol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정량적 분석의 원천자료는 운용사의 제공 자료로서
    대부분 제3자의 검증이 대부분 없다는 데이터 신뢰성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최악의 경우 운용사들이 속일 수도 있고,
    그렇지 않더라도 Appraisal Data 문제라는 것이 있습니다.
    유동성이 있는 실질적인 시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아무도 그 가격을 알 수 없기에
    평가에 사용되는 것은 appraisal data 입니다.
    설령 Bloomberg나 Reuters 등에 가격정보가 뿌려지고 있더라도
    이는 시장가격이 아닌 추정된 가격입니다.
    실제 청산시 그 가격을 받게 될 가능성은 낮습니다.
    또한 제공되는 데이터 역시 일별 데이터가 아닌 월별 데이터가 대부분입니다.
    그러다 보니 변동성이 실제보다 낮게 나올 수 밖에 없습니다.
     
    또 다른 특징은 기존자산과의 낮은 correlation입니다.
     
    때론 상관관계가 낮기도 합니다.
    일부 헤지펀드 중에는 short position을 취해
    주가가 빠질 때 오히려 10%이상의 수익을 올리는 등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투자안도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헤지펀드가 그렇지는 않습니다.
    시중의 유동성 움직임에 따라 오히려 동조화를 보이는 헤지펀드도 많습니다.
    심지어 레버리지로 short position을 잘못 취하여
    참조자산의 가격이 상승할 때 파산하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Survivorship bias 역시 많이 언급되는 부분입니다.
    헤지펀드 뿐만 아니라 다른 펀드에도 적용되지만
    헤지펀드의 경우 그 영향은 더욱 큽니다.
    일부 연구 결과에 의하면 2.5년 내에 실적부진으로 폐쇄되는 헤지펀드가
    전체 헤지펀드의 50%에 달한다고 합니다.
     
    Fund of Hedge Funds (FoF)는 사람에 따라서 헤지펀드의 일부로 보기도 하고
    새로운 자산군으로 보기도 합니다.
     
    동일 자산군으로 분류하는 사람들은 제한없이 다양한 자산에 투자할 수 있는
    헤지펀드가 또하나의 투자대상으로 헤지펀드를 삼았을 뿐 기본적으로는 같다고 봅니다.
    그러나 새로운 자산군으로 분류하는 사람들은
    개별자산에 투자하는 것과 헤지펀드를 투자하는 것은 엄연히 다르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분류가 어떻든
    Fund of Hedge Funds에 대한 분석은
    그 자체로도 의미가 있으며,
    헤지펀드에 직접 투자하기 전 단계로도 의미가 있습니다.
     
    Fund of Hedge Funds의 투자전략은
    대부분 Strategy은 Top Down 방식이며 Manager 선정은 Bottom Up 방식입니다.
    전혀 제한 없이 투자하기도 하며,
    특정 Strategy에만 투자(Relative Value, Event Driven)하거나,
    주식이나 채권 등 특정자산군에 특화하는 운용사들도 있습니다.
     
    FoF의 Risk 관리는 민감도 분석, 스트레스 테스트 등
    기본적 방법론에서 특별한 차이점은 없습니다.
    작은 조직일수록 개개인의 맨파워와
    각 담당자들이 리스크 관리에도 신경을 쓴다는 점을 강조하고
    큰 조직일수록 다단계 리스크 관리체계와 전산 등 잘 구비된 시스템
    그리고 복잡한 매뉴얼을 강조합니다.
    그러나 펀드든 기업이든 대부분 리스크 관리에 실패하는 경우는
    시스템의 부재보다 잘 구비된 시스템의 미작동인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방문하고 미팅하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정성적 평가 비중이 높게 됩니다.
    따라서 경험 축적은 중요한 부분입니다.
    실제로 모 보험사 같은 경우,
    외환위기 후 상당히 오랫동안 자산운용부문에서 해외투자를 못했던 적이 있습니다.
    국내에서 더 이상 투자하기 힘들자 그룹내 박사 출신들을 대거 포진시키며
    1년간 2조원 투자를 목표로 해외투자를 재개하였답니다.
    각종 이론적 지식에 능통한 그들은 복잡한 분석을 통해
    헤지펀드에 투자를 하였고, 반년동안 몇천억원을 투자하며
    해외투자의 큰 손으로 부각했습니다.
    그러나 몇 개월 만에 그들이 투자한 헤지펀드들은 천억원이 넘는 손실을 냈고
    해당 보험사의 해외투자는 다시 잠정 중단된 적이 있다고 합니다.
    극단적인 경우였지만
    정성적 분석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할 경우 발생하기 쉬운 예입니다.
     
    정성적 분석은 환경이 변하고 전략도 수시로 변하는 헤지펀드 시장의 특성상
    피할 수 없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정량적 분석의 한계는 과거 데이터와 향후 예상과의 불일치 위험이 높습니다.
    위험을 겪어 보지 않은 운용자가 실제 위험에 직면에서 어떻게 대응할지
    알 수 없습니다.
    실제로 위험을 겪어 본 운용자도 반복적으로 겪지 않았기 때문에,
    생존할 수 있던 것이 운이었는지
    투자철학에 근거한 리스크 관리능력이었는지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펀드마다 다르지만
    FoF의 매니저들은 수백개의 헤지펀드를 바라보면서도 실제 투자하기 위해서는
    투자전 최소 2~3번의 실사(Due Diligence)와
    투자후 매년 1~2회 이상의 정기 미팅을 갖는다고 합니다.
     
    제대로 헤지펀드나 FoF를 투자하기 위해서는
    그 정도의 노력이 필요하겠죠.
     
    정성적 평가 비중이 높을 경우 우려사항은
    실제 운용 및 리스크 관리 능력보다는 면담자의 언변에 좌우 될 위험이 높다는 점입니다.
    특히 영어등 이(異)언어권의 경우 동 위험은 높아집니다.
    면담시점에서 주관적 판단이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입니다.
    헤지펀드 운용자를 소개시켜주는 브로커의 사전 설명 및
    언변에 의한 선입견이 영향을 미치기도 하며,
    때론 자신도 모르게 listening test로 착각하는 사람도 드물지 않게 존재합니다.
    수학을 잘하는 사람이 자신이 분석할 수 있는 투자안과
    좋은 투자안을 혼동하듯이
    자신이 잘 알아들으면 좋은 투자안이라고 착각하는 경우입니다.
    이렇게 말하면 설마라고 생각하실 분들도 있겠지만…
    상대방의 설명을 더 잘 듣기위해 영어에 집중하다 보면
    사람들이 의외로 실수를 많이하는 부분입니다.
    영어를 잘하면 더 많이 알고 있다는 착각이 들면서….
     
     
     
    Image: Arianrhod, Welsh goddess associated with fertility and wealth from Playground.AI
    728x90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