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
인프라, 상품, 자원개발, 에너지손 가는 대로/금융자산운용 2016. 8. 11. 19:43
인프라, 상품, 자원개발, 에너지. 인프라, 상품, 자원개발. 보는 사람에 따라 3개가 전혀 다른 분야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습니다. 아예 인프라, 상품, 자원개발의 섹터 중 에너지 부분만 떼어 내어 에너지 섹터로 보기도 합니다. 간단히 설명 드리자면.... 인프라는 기간시설을 말합니다. 분류하는 사람들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크게 발전, 송전, 배전 등과 같은 에너지 관련 기간시설, 도로, 철도, 항만, 공항과 같은 교통관련 기간시설, 병원, 교도소, 학교 등과 같은 사회관련 기간시설 등이 포함됩니다. 예전에는 주로 정부에서 세금을 재원으로 하여 투자하였으나, 많은 자금이 소요되고 세금 징수에 대한 저항감이 크고, 납세자와 수혜자가 다를 수 있다보니, 민간참여를 확대시키고 수익을 얻을 수 있..
-
미국의 고용증가율과 자원개발/에너지손 가는 대로/자원개발 2015. 12. 24. 08:39
미국의 고용증가율과 자원개발/에너지 2015년 9월 기준, 지난 1년간 미국의 산업별 고용증가율을 보면 전반적으로 1~3%의 증가가 있었으나, 유독 채광과 벌목(mining and logging)은 11.4%의 하락세를 보입니다. 정확히 자원개발, 특히 유가스 쪽 인력 감소가 어느 정도였는지 알 수는 없지만, 자원개발 전반적인 어려움과 저유가로 인한 산업 타격에 대한 추측은 가능합니다. 세계 에너지 수도라고 불리는 휴스톤의 경우 채광과 벌목 부분의 고용감소는 없었지만, 제조업, 금융, 건설, 기타 서비스 등 산업전반에 걸쳐 고용이 감소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산업별 구분이 되지만 휴스톤의 경우 제조업, 금융, 건설, 기타 서비스 등의 산업들이 석유 및 에너지 산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고려하면, 저유가로..
-
바이오 디젤 03 미세조류(Microalgae)손 가는 대로/자산운용수필 2012. 6. 21. 08:41
바이오 디젤 03 미세조류(Microalgae) 3. 미세조류(Microalgae) 미세조류에 대해 조금만 더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1) 생산 과정(Production Cycle) Algae 배양을 위해서는 물, 태양, CO2 이외에 질소, 인, 유황 등 양소(nutrients)가 필요합니다.[1] 그리고 대량 배양이 되면, oil과 기타 의약, 화학, 사료 등에 사용되는 다른 공급 원료(feedstock)로 분리되어 추출되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2) 배양 배양시설의 종류는 크게 수로형 연못, 광생물 반응기, 발효 탱크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수로형 연못(Pond)은 개방형 배양시스템으로 단독 또는 몇 개의 channel이 연결되어 순환하도록 구성됩니다. 깊이는 0.3m 정도되며, Algae의 증산을..
-
바이오 디젤 02 조류(Algae)와 바이오 연료(Bio Fuel)손 가는 대로/자산운용수필 2012. 6. 20. 08:53
바이오 디젤 02 조류(Algae)와 바이오 연료(Bio Fuel) 자산운용과 관련이 있냐고 물을 수 있습니다. 답은 관련이 있다입니다. 이 세상 존재하는 대부분의 것들은 돈으로 환산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돈으로 환산된 모든 것은 투자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물론 돈으로 환산하는 것이 도덕적이냐 아니냐는 논란과 투자하는 것이 경제적 가치가 있냐 아니냐는 문제는 존재하겠지만. 에너지 역시 돈으로 환산될 수 있고, 바이오 연료를 포함한 대체 에너지 역시 투자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2. 조류(Algae)와 바이오 연료(Bio Fuel) 1) 미세조류(微細藻類, Microalgae) 3세대 바이오 연료 중 미세조류에 대해 아주 조금만 더 알아봅시다. 아주 조금인 이유는... 지면상의 문제가 아니라 저 역시..
-
바이오 디젤 01 바이오 연료손 가는 대로/자산운용수필 2012. 6. 19. 08:45
바이오 디젤에 대한 짧은 글입니다. 1. 바이오 연료(Bio Fuel) 1) 바이오매스(Biomass) ‘바이오매스(Biomass)’는 생명체를 의미하는 ‘bio’와 양을 의미하는 ‘mass’가 결합된 용어입니다. ‘생물량 또는 생물체량’을 말하며, 바이오 매스를 통해 생산되는 에너지가 ‘바이오 에너지’입니다. 2) 바이오 연료(Bio Fuel) 바이오 연료는 식물체 및 동물폐기물 등 바이오 매스를 원료로 하여 생성되는 기체 또는 액체 형태의 연료를 모두 포함하는 용어입니다. 일반적으로 바이오 연료는 좀더 좁은 의미로 사용되어, 휘발유(gasoline)과 경유(diesel) 등 자동차 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바이오 에탄올이나 바이오 디젤을 의미합니다. 기술적인 측면에서 다음과 같이 세대를 나누어 볼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