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찰의 직급손 가는 대로/그냥 2025. 4. 1. 08:14728x90
경찰의 직급 체계
대한민국 경찰의 직급 체계는 크게 경찰공무원 계급과 경찰대학·간부후보생 출신 등의 특정 직급으로 나뉩니다. 일반적으로 경찰공무원 계급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아래와 같이 구분됩니다.
1. 경찰공무원 계급 체계 (순서대로 정리)
① 치안총감 (治安總監)
경찰청장(1명)과 국가수사본부장(1명)만 해당하는 최고위 계급.
정부에서 임명하며, 경찰 조직을 총괄함.
60대 초반 (최상위 1명)
② 치안정감 (治安正監)
경찰청 차장, 서울·부산·경기남부경찰청장 등 주요 지휘관이 해당됨.
경찰청장 다음으로 높은 직급.
60대 초반 (3~5년)
③ 치안감 (治安監)
지방경찰청장, 경찰청 국장급 등이 맡음.
경찰 조직 내에서 상위 지휘부에 속함.
50대 후반 ~ 60대 초반 (5~7년)
④ 경무관 (警務官)
지방경찰청 차장, 경찰청 과장급이 해당됨.
경찰 조직에서 고위직이지만, 본청 및 지방청 간부 역할.
50대 중반 ~ 50대 후반 (5~7년)
⑤ 총경 (總警)
경찰서장(일반 경찰서), 경찰청·지방청 과장급이 많음.
지휘관급으로서 현장 경찰서를 책임지는 경우가 많음.
50대 초반 ~ 50대 중반 (7~10년)
순경 공채자 중 빠르면 40대 중반 ~ 50대 초반에 총경 승진 가능.
총경 이상은 경쟁이 심하고 승진이 어려움.
⑥ 경정 (警正)
경찰서 과장(정보·형사·수사 등) 역할 수행.
본청과 지방청에서는 실무 부서장 역할을 맡음.
50대 초반 (7~10년)
⑦ 경감 (警監)
경찰서 계장(팀장) 역할, 중요 업무 담당.
수사팀장, 지구대장, 파출소장 등 현장 지휘관.
40대 중반 ~ 50대 초반 (6~9년)
⑧ 경위 (警衛)
팀원 중 가장 높은 직급, 수사·형사·교통 등에서 실무 담당.
파출소·지구대의 부소장 역할 수행.
40대 초반 ~ 40대 중반 (6~8년)
경찰대 졸업자, 간부후보생은 20대 중반에 경위로 임관. 경감~총경 승진도 빠름.
⑨ 경사 (警査)
일선 경찰서에서 실무자로 활동.
팀원급 역할로, 수사·형사·교통 등의 실무 담당.
30대 중반 ~ 40대 초반 (4~6년)
⑩ 경장 (警長)
순경 다음 직급, 경찰 업무 적응 후 실무 경험이 많아지는 단계.
경찰서 및 지구대, 파출소 등에서 근무.
30대 초반 ~ 30대 중반 (3~4년)
⑪ 순경 (巡警)
경찰 조직 내 최하위 계급으로 신임 경찰관이 처음 시작하는 직급.
주로 현장 업무 수행.
20대 후반 ~ 30대 초반 (순경 공채 입문 시)
2. 특수 직급
경찰대학·간부후보생 출신 경찰관:
경찰대 졸업자는 경위로 임관.
경찰간부후보생 과정 수료자는 경위로 임관.
순경 공채:
공채로 선발된 경찰관은 순경부터 시작.
특수 경찰 조직:
경찰특공대, 해양경찰, 철도경찰 등 특수 조직에서도 동일한 계급 체계를 유지.
3. 경찰 계급장의 특징
계급장에는 별(★), 무궁화(🌺) 등으로 구분됨.
치안총감~치안감: 무궁화 4~2개.
경무관~총경: 무궁화 1개 및 다른 장식.
경정 이하: 삼각형(▶) 또는 직선형(—) 디자인 적용.728x90'손 가는 대로 > 그냥'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찰청과 지방경찰청 (0) 2025.04.03 대한민국 경찰 조직 체계 (0) 2025.04.03 11월의 어느 날 - 추위 (0) 2024.11.29 11월의 어느 날 - 눈 (0) 2024.11.29 11월의 어느 날 (0) 2024.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