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 가는 대로/자원개발
-
Oil & Gas 01-02-05 매장량의 세부분류손 가는 대로/자원개발 2012. 12. 24. 08:43
5) 매장량의 세부분류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매장량은 확실성에 따라 확인 매장량(Proved Reserves), 추정 매장량(Probable Reserves), 가능 매장량(Possible Reserves)으로 나뉘게 됩니다. 이 중 확인 매장량(Proved Reserve)은 지질학적 자료 및 공학적 자료를 통해 이미 발견된 저류층으로부터 상업적으로 회수가 가능하다는 것이 확실하다고 여겨지는 매장량입니다. 혹자는 확실하다는 것을 실제 회수될 매장량이 예측한 매장량 이상일 확률이 90%이상일 경우를 말한다고도 하는데, 대략적인 감을 위해서 인용할 수는 있겠지만 확률적으로 딱 잘라 말할 수는 없습니다. 확인 매장량은 세부적으로 생산중인 확인 매장량(PDP, Proved Developed Producing),..
-
Oil & Gas 01-02-04 매장량(Reserve)과 자원량(Resources), 그리고 상업성손 가는 대로/자원개발 2012. 12. 21. 12:47
4) 매장량(Reserve)과 자원량(Resources), 그리고 상업성 매장량에 대해 조금 더 이야기 하면, 매장량은 상업성이 확보된 양이라 말했습니다. 이 때 상업성은 경제적 제한과 계약상의 제한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상업성과 매장량에 대해 조금 더 생각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아래와 같이 X축은 시간이고, Y축은 생산량을 나타내는 생산 곡선이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이 때 상업성을 고려하지 않은, 이론적으로 생산 가능한 부분은 자원량이 됩니다. 상업성을 고려할 때 우선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것이 경제적인 제한인 유가 및 생산 비용입니다. 경제적인 제한이 주어질 때 경제성이 없어지는 시점 이후에는 생산을 안 하게 되므로 매장량은 (A)가 아닌 (B)가 됩니다. 그런데 경제적 제한 외에 계약..
-
Oil & Gas 01-02-03 매장량(Reserve)과 자원량(Resources), 원시부존량(Petroleum Initially in Place)손 가는 대로/자원개발 2012. 12. 17. 19:26
조금 버겁다는 생각이 들며 왜 시작했을까 싶기도 하지만.... 3) 매장량(Reserve)과 자원량(Resources), 원시부존량(Petroleum Initially in Place) 이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이 다소 복잡해 보이는 모습이 됩니다. SPE Petroleum Resources Definition (2000)에 실린 내용을 약간 수정한 표인데, 자세히 보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됩니다. 계속 중복되는 것 같아 건너 뛰셔도 될 듯 하지만.. 묻혀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총량은 총 원시부존량입니다. 자연적으로 발생한 탄화수소 집적구조 내에 본래부터 존재하는 것으로 평가되는 석유의 양으로 정의되지만 그냥 묻혀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총량으로 보시면 됩니다. 이는 발견 여부에 따라 발견 원시..
-
Oil & Gas 01-02-02 매장량(Reserve)과 자원량(Resources) 관련 개념도손 가는 대로/자원개발 2012. 12. 14. 08:12
2) 매장량(Reserve)과 자원량(Resources) 관련 개념도 여러가지에 대해 고민하는 것은 결국 얼마나 묻혀있는지 얼마나 캐낼 수 있는지 알고자 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깊은 땅속에 있다 보니 여러가지 탐사를 해도 알아내기 힘듭니다. 이러한 불확실성은 두 가지 관점에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하나는 얼마나 있는게 확실한가이고 다른 하나는 캐내는 게 돈이 될거냐는 것입니다. 경제성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자원량(resources)과 매장량(reserve)으로 구분하게 됩니다. 자원량은 경제성을 고려하지 않은,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양입니다. 이 중 기술적∙경제적으로 생산 가능한 경우, 즉 상업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매장량으로 분류하게 됩니다. 투명하게 들여다 보는게 아니다 보니, 묻혀..
-
Oil & Gas 01-02-01 원시 부존량(Petroleum Initially in Place)과 회수가능 매장량(Estimated Ultimate Recovery)손 가는 대로/자원개발 2012. 12. 13. 20:20
쉽게 풀어쓴 자원개발 이야기. 이제 두번째 꼭지인 '매장량과 자원량'입니다. 2. 매장량(Reserve)과 자원량(Rescources) 1) 원시 부존량(Petroleum Initially in Place)과 회수가능 매장량(Estimated Ultimate Recovery) 일반적으로 매장량하면 묻혀있는 총량을 생각하게 됩니다. 하지만 자원개발에 대해 아시는 분들은 그렇지 않다는 걸 기본적으로 아실 겁니다. 아주 기본적인 내용이지만 그런 분들을 대상으로 쓰고 있고 또 중요한 내용이기도 하니 조금 시간을 할당해 보겠습니다. 원래 묻혀있는 것으로 생각되는 총량을 원시 부존량이라고 합니다. 그냥 묻혀있는 양이기에 정적인 개념으로 볼 수 있습니다. Petroleum Initially in Place(PIIP)..
-
셰일가스 관련 여러 생각들손 가는 대로/자원개발 2012. 12. 6. 13:50
여전히 국내에서는 뜨거운 주제인 셰일가스. 셰일가스와 관련된 의견은 크게 3~4가지로 나뉩니다. 우선 셰일가스가 세상을 바꿀거라는 의견입니다. 전세계 셰일가스의 추정 매장량 1,500억톤. 세계 천연가스 공급량이 2010년 약 25억톤이었으니 엄청난 양입니다. 전 세계가 60년간 사용가능한 매장량이라고 하고, IEA에서는 천연가스 황금시대(Golden Age of Gas)에 돌입했다고 전망하기도 했습니다. 셰일가스 부존량이 862Tcf인 미국은 2035년경 미국 총 가스생산의 49%인 2.9억톤을 생산할 전망이며, 2035년까지 신규 발전설비의 60%를 가스발전으로 확충할 거라고 합니다. 미국의 경우 2008년 $9/MMBTU에 달하던 가스가격은 2012년 3월에는 $2 수준까지 떨어졌고, 같은 기간 도..
-
Oil & Gas 01-01-08 석유부존을 위한 4대 요건과 셰일석유손 가는 대로/자원개발 2012. 12. 6. 09:14
8) 석유부존을 위한 4대 요건과 셰일석유 셰일가스/오일(Shale Oil/Gas)의 경우 근원암과 저류암이 같은 층이 됩니다. 셰일층에서 석유가 생성되었는데 근원암인 셰일층이 너무 치밀하다 보니 생성된 석유가 위로 올라가지 못하고 셰일층에 그대로 갇혀 있는 것입니다. 그러다 보니 트랩이나 덮개암의 중요성은 덜하고 플레이라고 부르는 일종의 구조 또는 방법이 중요하게 됩니다. 셰일가스/오일의 경우 새로 발견된 것은 아닙니다. 그런 형태로 묻혀있다는 것은 예전부터 알려져 있었으나 기술적 경제적 이유로 상업성이 없다고 여겨지던 석유가 유가의 상승과 기술의 발달 등으로 상업성이 생긴 경우입니다. 비슷하지만 셰일층이 아니고 올라가다가 다른 층에 붙들린 경우는 치밀석유(Tight Oil/Gas)라고 합니다. 셰일층..
-
Oil & Gas 01-01-07 덮개암(Cap Rock)손 가는 대로/자원개발 2012. 12. 3. 19:50
7) 덮개암(Cap Rock) 액체를 담기 위해서는 모양이 중요합니다. 그게 바로 구조죠. 하지만 똑같이 오목한 모양이어도 종이로 만들었냐 유리로 만들었냐에 따라 액체를 담을 수 있는지는 차이가 납니다. 여러 종류의 암석 중 구조를 막아줄 수 있는 재질의 지층을 덮개암 또는 모암(帽岩)이라고 합니다. 즉, 덮개암은 석유가 묻혀있는 위를 덮어서 석유가 위로 못 빠져나가게 하는 유체가 투과하기 힘든 암석인 것입니다. 저류암과는 반대로 공극률(孔隙率)과 투수율(透水率)이 아주 낮아야 덮개암의 기능을 하게 됩니다. 덮개암도 여러 종류가 있을 수 있는데 셰일, 이암(泥岩) 및 치밀한 석회암이 포함됩니다. 특히 쇄설성(碎屑性) 저류암의 경우 셰일이 덮개암 기능을 하며, Shale 층이 덮개암 노릇을 하고 있는 유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