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 가는 대로/금융자산운용
-
비트코인과 내재가치손 가는 대로/금융자산운용 2024. 3. 16. 07:21
비트코인과 내재가치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이 공격받는 것 중 하나는 내재가치 관련입니다. 가상자산에 부정적인 사람들은 가상자산들이 내재가치가 없고 오를 거라는 사장참여자들의 믿음에만 기댄 허상이라고 하죠. 사람들이 정신을 차리는 순간 폭락하게 될 거라며. 주식과 내재가치 하지만, 이미 주식시장 등 금융시장에서 투자시 내재가치가 의미가 없어졌다는 사람도 있습니다. 주식도 (미국의 성장주를 보면) 2000년대 초반 닷컴 열풍이후 다를 바가 없다는 거죠. 닷컴버블 붕괴라는 조정을 거친 후 급등을 한 성장주들을 보면, 그럴 듯하게 적정가격을 포장하지만, 결국 내재가치가 아닌 아무도 알 수 없는 성장성에 대한 베팅이라는 겁니다. (가치투자는 제외겠지만요.) 그런 주식시장과 비교할 때, 가상자산은 (주식시장에서) 내..
-
비트코인과 튤립공황손 가는 대로/금융자산운용 2024. 3. 16. 07:20
비트코인 또다시 비트코인이 투자 광풍의 중심에 있습니다. 투자를 안 했던 사람들은 이제라도 투자를 해야하는 것 아니냐는 생각을 하고 있죠. 비트코인과 튤립공황 비트코인 상승초기에는 가상자산의 상승은 튤립공황 당시 네덜란드에서 있었던 튤립의 알뿌리에 대한 투기와 비슷하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지금은 그말을 하면 어리석은 사람 취급을 합니다. 이런 열풍이 인지도 10년 가까이 되니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이죠. 하지만, 튤립공황을 보면 튤립이 유럽에 유입된 것이 16세기 후반이었고, 1610년 경부터 여러 품종이 비싼가격에 거래되었고, 1630년경에는 튤립 투기에 나서는 그동안 관심이 없었던 사람들까지 뛰어들면서 참여자들이 대폭 늘어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1637년 2월 대폭락이 왔습니다. 가격이..
-
미국 주식 시장에 투자하는 국내 ETF (2024년 02월)손 가는 대로/금융자산운용 2024. 3. 5. 19:19
미국 주식 시장에 투자하는 국내 ETF (2024년 02월) 미국 주식 시장에 투자하는 국내 ETF 중 분기별 배당 펀드 포함한 12개에 대한 2024년 2월 업데이트 내용입니다. 액티브 전략이나 파생상품 위주 전략을 구사하는 ETF와 섹터 특화 ETF는 제외하였으며, 제외한 나머지 ETF들 중에서 12개를 추려낸 기준은 딱히 없습니다. [0] 2월 중 KOSPI 주가는 상승하였지만 뒷심은 부족했습니다. 3개월 기준으로는 NASDAQ과 S&P 500 지수가 10% 이상의 높은 상승률을 보였으며, KOSPI는 2월 상승에도 불구하고 2023년 12월말 수준 아래에 머물렀습니다. [1] 3개월 전 대비 볼 경우 12개 ETF의 주당순자산가치와 주가 모두 (+)를 보였습니다. 환헤지형 상품인 SOL 미국배..
-
미국 시장에 투자하는 국내 월 배당 ETF (2024년 02월)손 가는 대로/금융자산운용 2024. 3. 5. 18:15
미국 시장에 투자하는 국내 월 배당 ETF (2024년 02월) 미국 시장에 투자하는 국내 월 배당 ETF 중 10개 펀드에 대한 2024년 2월 업데이트 내용입니다. 10개 펀드를 고른 기준은 딱히 없습니다. 또한, 본 블로그의 글은 개인적으로 참고하기 위한 내용이며, 어느 ETF가 더 좋고 어느 ETF가 더 나쁘다는 것을 말하기 위한 글도 아니고, 투자 추천을 하기 위한 글도 아닙니다. [0] 2024년 2월말 기준 3개월 누적 변동률을 보면 KOSPI 4.2%, S&P 500 11.6%, 나스닥 13.1% 상승하였습니다. 미국 시장에 비해 KOSPI의 상승폭은 적었죠. 2월만 보면 KOSPI 지수는 5.8% 상승하여 2,600 선을 넘어서며 2,642.36으로 마감하였습니다. 같은 기간 나스닥 상..
-
미국 주식 시장에 투자하는 국내 ETF (2024년 01월)손 가는 대로/금융자산운용 2024. 2. 1. 19:32
미국 주식 시장에 투자하는 국내 ETF (2024년 01월) 미국 주식 시장에 투자하는 국내 ETF 중 분기별 배당 펀드 포함한 12개에 대한 2024년 1월 업데이트 내용입니다. 액티브 전략이나 파생상품 위주 전략을 구사하는 ETF와 섹터 특화 ETF는 제외하였으며, 제외한 나머지 ETF들 중에서 12개를 추려낸 기준은 딱히 없습니다. [1] 1월의 주가는 만족스러운 모습을 보이지는 않았으나 소폭 상승하면서, 3개월 전 대비 12개 ETF 모두 (+)를 보였습니다. 3개월만 보았을 때 가장 주가가 많이 오른 것은 나스닥 관련 ETF였습니다. TIGER 미국나스닥100(133690), KBSTAR 미국나스닥100(368590) 둘 다 20%가 넘는 상승률을 보였죠. S&P 지수를 추종하는 4개의 ET..
-
금융회사 임직원 성과보수 관련손 가는 대로/금융자산운용 2024. 1. 5. 19:45
금융회사 임직원 성과보수 관련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 (이하 "금융사지배구조법") 제22조제3항, 동법 시행령 제17조제3항, 감독규정 제9조제3항제1호에 의하면, 금융회사는 임원이나 금융투자업무담당자에 대해서는 성과보수의 100분의 40 이상에 대하여 이연 기간을 3년 이상으로 하여야 합니다. 동시에 이연기간 중 초기에 지급되는 부분이 기간별 균등배분한 수준보다 크지 않아야 하죠. 또한, 금융회사 지배구조 감독규정 제9조제3항에 의하면, 담당 업무와 관련하여 손실 발생 시 이연지급 예정인 성과보수를 손실규모를 반영하여 재산정해야 합니다. 다만, 최근 사업연도 말 기준 자산총액이 7천억원 미만인 상호저축은행, 자산총액이 5조원 미만인 금융투자업자 또는 종합금융회사, 보험회사, 여신전문금융회사 등..
-
준법감시인 등에 대한 별도의 보수지급 및 평가 기준손 가는 대로/금융자산운용 2024. 1. 5. 18:32
준법감시인 등에 대한 별도의 보수지급 및 평가 기준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 ( 약칭: 금융사지배구조법 ) 제25조제6항과 제28조제2항에 의하면, 준법감시인과 위험관리책임자(이하 "준법감시인 등")에 대하여 재무적 경영성과와 연동하지 아니하는 별도의 보수지급 및 평가 기준을 마련하여 운영하여야 한다는 규정이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서 몇 가지 서로 다른 의견들이 있습니다. 1) 별도의 기준 법의 취지를 중시하는 사람은 회사의 재무적 경영성과와 연동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준법감시인에 대한 성과급을 주지 않는 경우 별도의 보수지급 및 평가 기준을 만들지 않아도 '마련하여 운영'한다고 볼 수 있다고 해석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법의 문구만 놓고 볼 때에는 별도의 기준을 마련하여 운영하는 것까지..
-
미국 주식 시장에 투자하는 국내 ETF (2023년 12월)손 가는 대로/금융자산운용 2024. 1. 2. 19:48
미국 주식 시장에 투자하는 국내 ETF (2023년 12월) 미국 주식 시장에 투자하는 국내 ETF 중 분기별 배당 펀드 포함한 12개에 대한 12월 업데이트 내용입니다. 액티브 전략이나 파생상품 위주 전략을 구사하는 ETF와 섹터 특화 ETF는 제외하였으며, 제외한 나머지 ETF들 중에서 12개를 추려낸 기준은 딱히 없습니다. [1] 12월에도 주가가 상승하면서, 3개월 전과 비교해도 비교 대상 12개 ETF 모두 (+)를 보였습니다. 3개월만 보았을 때 가장 주가가 많이 오른 것은 환헤지형 S&P 500 지수 펀드인 KBSTAR 미국S&P500(H)(453330)로 11.2% 상승했으며, 미국 나스닥 지수를 추종하는 환오픈형 펀드들도 11% 대의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2] 월 배당형과 분기 배당형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