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 가는 대로
-
Oil & Gas 01-01-03 석유의 생성손 가는 대로/자원개발 2012. 11. 27. 17:22
3) 석유 및 가스의 생성 유기설로는 설명 안되는 구조가 있다고는 하지만 유기설에 의해 설명되는 구조가 80~90%는 된다고 하고, 지질학적 접근이 아닌 투자 대상으로 접근할 때는 아마 대부분 유기설만 알아도 설명 가능한 곳에만 투자를 하게 되리라 생각됩니다. 땅속에 존재하는 석유는 순수하게 석유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황이나 질소 등 여러 불순물을 같이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불순물들은 대부분 유기물인 단백질이 분해될 경우 발생하게 되며, 과거 얕은 바다나 호수 밑이었을 것이라 추정되는 퇴적암들에서 대부분의 석유가 발견된다는 점을 들어 유기설이 더 타당하다고 보는 시각이 많습니다. 앞서 말한 듯이 유기설에 의하면, 생물들이 죽어서 쌓인 후 압력과 온도에 의해 석유가 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gene..
-
Oil & Gas 01-01-02 석유의 생성 원인손 가는 대로/자원개발 2012. 11. 26. 20:31
2) 석유의 생성 원인 석유의 생성원인은 유기설(organic theory)과 무기설(inorganic theory)로 나누어 집니다. 유기설 또는 유기성인설(organic theory )은 지질시대에 살았던 동물이나 식물 등 각종 유기물들이 퇴적된 후 높은 압력과 온도를 받아 분해되며 탄화수소로 변했다는 이론입니다. 가장 주된 것은 높은 압력과 온도이며 그 과정에서 다른 퇴적물의 촉매작용이나 특수 박테리아 등이 작용을 하였다고 봅니다. 반면 무기설 또는 무기성인설(inorganic theory)은 땅속 깊은 곳에서 물과 이산화탄소 및 다른 무기 물질들 간에 화학반응이 일어나서 탄화수소가 발생했다는 이론입니다. 금속 탄화물과 반응이 일어났다는 설과 황과 섞이면서 반응이 일어났다는 설이 있습니다. 또 다른..
-
Oil & Gas 01-01-01 석유(Petroleum, 石油)란?손 가는 대로/자원개발 2012. 11. 26. 12:56
비전문가가 보는 '자원개발: Oil & Gas'에 대한 글을 시작할까 생각 중입니다. ====== I. 석유 개요 1. 석유의 생성 1) 석유(Petroleum, 石油)란? 석유(petroleum, 石油), 원유(crude oil, 原油), 천연가스(Natural Gas), 탄화수소(hydrocarbon, 炭化水素) 등 몇 가지 용어가 나옵니다. 설마 그 정도도 모를까봐 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지만, 먼저 잠깐 용어에 대한 설명을 먼저 해볼까 합니다. 일단 가장 포괄적인 것은 탄화수소입니다. 탄소와 수소로만 이루어진 유기화합물을 통틀어 말하며, 원유나 가스 모두 탄화수소에 포함됩니다. 원유는 지하에서 채굴한 기름으로 가공을 거치지 않은 액체 탄화수소화합물을 의미합니다. 천연가스는 사전적으로 천연상태에서 산..
-
자원개발(석탄)에 관한 간단한 Q&A손 가는 대로/자원개발 2012. 11. 2. 08:13
자원개발(석탄)에 관한 간단한 Q&A Q: 셰일가스로 위협받는 건 오일이다? A: No. 가스는 오일의 대체가 되기 어렵고 석탄의 대체재에 가깝다고 합니다. 10~15% 정도 대체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Q: 석탄 발전소 보다 가스 발전소의 수명이 짧아 가스 발전이 석탄 발전을 대체하기 어렵다? A: No. 가스의 황 성분때문에 그런 말이 나올 수 있으나 아닌 경우도 많아서 일반화 시킬 수는 없다고 합니다. 발전용 연료는 꾸준히 같은 품질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 점에서도 석탄보다 가스가 유리합니다. 석탄 가스 복합 발전이 많아지고 있는데 이 경우 대체 효과는 더 커질 수 있습니다. Q: 석탄의 핵심은 수송이다? A: Yes. 석탄과 철광의 경우 바로 쓸 수 있기 때문에 수송이 중요합니다. 탄광..
-
미국 부동산 관련 작은 이야기 (뉴욕 위주)손 가는 대로/자산운용수필 2012. 10. 31. 08:48
미국 부동산 관련 작은 이야기 (뉴욕 위주) 금융위기 이후 늘어난 연기금, 공제회, 생보사 등 국내 금융회사들의 해외 부동산 투자. 핵심 지역의 Top tier 빌딩을 선호하였습니다. 그래도 핵심지역의 top class면 안전하지 않겠냐며. 실제로 2~3년만에 성공적인 exit을 한 프로젝트도 있습니다. 물론 만기 전에 자신이 그 회사에서 나가게 될 거라고 너무 무모한 거 아니야라는 시각도 있습니다만. 10년, 20년 뒤를 알 수는 없지만, 그렇게 무모한 생각으로 투자한 것은 아니겠죠. 임대수익률이 채권수익률 보다 높고 각국이 경기부양을 위해돈을 많이 풀었으니 실물자산의 가격이 오를 수 밖에 없고 아니더라도 십년 이십년 내에는 언젠가 매각 기회가 오지 않겠냐는 말. 채권 수익률 보다 높고, 채권과 달리 ..
-
Type 1 error vs type 2 error손 가는 대로/그냥 2012. 10. 10. 00:02
Type 1 error vs type 2 error 어떤 투자안을 보게 되면 해당 투자안을 투자해야 하냐 말아야 하냐는 판단을 해야 합니다. 기준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수익률이 될 수도 있고, 원금손실 위험이 될 수도 있습니다. 원금손실 위험을 기준으로 삼을 때 원금손실 위험이 낮은 투자안을 투자 가능한 투자안으로 보게 됩니다. 이를 판단을 하기 위해, 우리는 원금 손실 위험이 높다는 귀무가설을 세우게 됩니다. 이 때, 해당 귀무가설이 사실일 때 기각하는, 즉 원금손실 위험이 높지만 위험을 파악하지 못해 투자해도 된다고 판단하게 되는 type 1 error와, 해당 가설이 거짓인데도 기각하지 못하는, 즉 원금손실 위험이 낮지만 투자부적격으로 판단하게 되는 type 2 error가 존재하게 됩니..
-
Risk손 가는 대로/그냥 2012. 9. 8. 05:00
When you look long into risk, the risk looks into you. 오랫동안 리스크를 들여다 보고 있을 때, 리스크도 당신을 들여다 보고 있습니다. 어느 사람의 말입니다. 미국 TV 시리즈 크리미널 마인드(Criminal Minds) 첫번째 시즌 첫번째 에피소드에서 제이슨 기든(Jason Gideon)도 인용했던 니체(Friedrich Nietzsche)의 말에서 심연(abyss) 대신 리스크라는 단어를 넣은 문장입니다. When you look long into an abyss, the abyss looks into you. 오랫동안 심연을 바라보고 있을 때, 심연도 당신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http://maguquotes.blogspot.com/2012/08/abyss..
-
어느 혁신 강사의 사적인 생각손 가는 대로/그냥 2012. 9. 7. 06:54
어느 혁신 강사의 사적인 생각 혁신으로 유명한 어느 강사와 사적인 자리를 가졌었다는 한 사람을 만났습니다. 강의와는 전혀 다른 이야기를 하였답니다. 1) 아래에서 시작하는 혁신은 X소리다. 혁신은 결코 아래에서 시작되는게 아니라 위에서 변해야 된다는 것입니다. 몇배, 몇십배 심지어 외국의 경우 몇백까지 일반 직원보다 월급을 더 받는다면 그만큼 더 많이 혁신에 기여해야하는 건 당연한게 아니냐는 말을 덧붙이며. 2) 혁신은 교육이나 지시가 아닌 행동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혁신은 가르친다고 되는 것도 아니고, 하라고 강요한다고 할 수 있는 것도 아닙니다. 위에서 실천하는 모습을 보일 때 자연히 조직 전체로 전파되는 문화라며. 3) 청바지를 입어야 혁신이 되는 건 아니다. 창의적이거나 혁신적인 사람이 복장을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