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 가는 대로
-
대마초 합법화와 약물운전손 가는 대로/그냥 2015. 5. 6. 00:42
대마초 합법화와 약물운전 콜로라도주와 워싱톤주 등 미국의 몇몇 주에서는 기호식품으로의(recreational) 대마초를 합법화하였습니다. 그리고 합법화하려는 주가 조금씩 늘어나는 모습입니다. 합법화를 주장하는 사람들은 대마초가 담배보다 중독성도 낮고, 덜 유해하다고 합니다. 합법화 시 경제적 효과도 크다고 합니다. (마치 어벤저스2 서울촬영시 경제효과 몇조원처럼 정체불명의 효과같기도 하지만..) 그런데, 비록 마약 운전이 미국 전체의 문제이기는 하지만 대마초를 합법화한 주에서 더 심하게 발생하는 점은 경제적 효과보다 더 큰 사회적 비용이 되고 있는 듯 싶습니다. 우선 대마초 흡연운전으로 인한 사고가 급증하고 있다고 합니다. 음주운전은 밤에 주로 발생하고, 술취한 상태임을 주위에서 알 수 있고, 말릴 수 ..
-
환경손 가는 대로/그냥 2015. 5. 4. 17:11
환경 어떤 사람은 깊고 높은 산속에서 장대한 산들을 보며 아둥바둥 사는 삶이 얼마나 어리석은 지를 깨닫습니다. 하지만 같은 곳에서도 어떤 사람은 돌아다니는 동물들만 보며 사냥꾼이 되기도 하고, 어떤 사람은 지나는 사람들을 보며 산적이 되기도 합니다. 망망대해를 바라보며 호연지기를 키우는 사람도 있지만, 물속의 물고기만을 바라보며 생업을 걱정하는 사람도 있고, 외롭게 항해하는 배를 보며 해적이 되려는 사람도 있습니다. 전혀 환경의 영향이 없다고 할 수는 없겠지만, 산적이 산적이 된 것은 산의 잘못이 아니고, 해적이 해적이 된 것 역시 바다를 탓할 수는 없습니다.
-
네이버 포토업로더 오류손 가는 대로/알림 2015. 5. 2. 02:15
갑자기 네이버 포토업로더가 열리지 않습니다. 그냥 먹통입니다. 고객센터에 가보니... 원래 포토에디터에 문제가 많은 모양인 듯. 브라우저 문제라며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고, 대부분 브라우저, 특히 인터넷 익스플로어와의 충돌 문제 같지만... 저는 인터넷 익스플로어 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브라우저에서도 안되는 걸로 봐서는 브라우저 문제 같지는 않은데... 그렇다고, 네이버에서 별도 공지가 없는 걸로 봐서는 포토에디터 문제도 아닌 것 같고. 원인도 해결책도 모르는 상황이어서, 당분간 사진을 포함한 포스트는 네이버 블로그에 올리지 못합니다. 언제까지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
좋으니까?손 가는 대로/부동산 2015. 4. 30. 18:51
좋으니까? 경제지표가 그렇지는 않지만, 미국의 대도시에 건물이 들어서는 걸 보면, (좀 과장해서 말하자면) 고성장기 한국이 연상될 정도입니다. 건설이 실제로 여러 산업에 파급되는 효과도 있지만, 실제 미치는 영향을 떠나서도 시각적 효과가 큽니다. 뭔가 꿈틀대는 느낌. 경기가 좋구나라는 기대. 경기에 대해 제가 생각했던 것보다 좋게들 봅니다. 금리를 안올리는게 좋으니 올리면 안된다고 앓는 소리를 내지만 뒤에서는 올려도 큰 문제없다는 자신감을 보이기도 하고요. 하지만, 동시에 좋은 지역 우량 물건에 대해서는 LTV (또는 LTC)가 100%에 임박해 가는 모습을 보고 있으면 불안함도 느껴집니다. 그래도 되냐는 말에 누군가의 쿨한 대답. 좋으니까. 금융위기 전에는 120%도 갔었는데 하는. *** 미국 내 모..
-
날개손 가는 대로/[詩] 2015. 4. 30. 00:45
날개 때론... 스스로 부족함에 얼굴이 얼얼 눈앞의 부조리에 머리가 펄펄 차가운 맞바람에 온몸이 얼얼 가리운 앞길에 마음이 벌벌 그래도... 날개를 펴고 날아오르자 훨훨 털어버릴 건 털어버리고 훌훌 - 본 포스트 및 별도의 언급이 없는 블로그 내 다른 포스트들에서 이미지 하단의 출처 및 CCL 또는 Public domain 표시는 바로 위 사진에만 해당되며, 다른 이미지나 글들은 해당 표시의 적용을 받지 않습니다. 이 경우 또는 아무런 조건 표시가 없는 경우, public domain이라는 뜻이 아니라, 저작권자의 사전허락이 필요하다는 뜻입니다. - 이미지 하단이 아니라 포스트에 CCL 표시가 되어 있는 경우에는 포스트 내용 전체가 해당 CCL의 적용을 받습니다. 다만, 이 경우에도 개별 이미지에 대한 ..
-
미국의 팁문화손 가는 대로/그냥 2015. 4. 28. 01:59
미국의 팁문화. 미국은 팁문화가 발달해 있습니다. 호불호가 갈리지만 여러가지 장점이 있습니다. 더 좋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는. 하지만, 제가 처음 미국을 갔을 때, 음식점 팁이 5~10%였는데.. 갈 때마다 올라 7~10%, 10~15%이더니 이제는 15~25%. 그것도 예전에는 세전이었는데, 지금은 그 기준이 세후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음식점 최저팁 15% 시대. 그리고, 일부 카페나 패스트푸드점에서는 특별한 서비스가 없어도 (터치스크린 등을 통해) 노골적으로 팁을 요구합니다. 더이상 미국인들에게도 팁은 아름다운 문화가 아닌 부담. 뉴스에서도 언급하고, No-tip을 선언하는 식당들이 생길 정도로. 미국인들이 그래도 팁은 있어야 된다고 생각하는 이유 중 가장 큰 이유는 좋은 서비스가 아닌 팁을 안 ..
-
자연 앞에서손 가는 대로/그냥 2015. 4. 26. 20:32
자연 앞에서 LA. 오늘도 비가 왔습니다. 하지만 그래도 여전히 4년째 가뭄이라고 하고, 강제 절수 방안이 되며 이해관계에 따른 불만이 많습니다. 돌고래의 떼 죽음로 대지진이 또한번 오는 거 아니냐는 일본의 불안감. 그냥 지나가는가 싶었더니.. 칠레의 화산. 분화가 시작되었다고 하죠. 뒤이어 나오는 백두산 폭발도 임박했다는 이야기. 그리고, 옐로우스톤 아래에서 발견된 새로운 용암군. 옐로우스톤 분화하면 떠오르는 영화 2012. 하지만 네팔의 지진으로 언론의 관심에서는 뒤로 밀려납니다. 끊임없는 자연재앙. 그리고, 그 앞에 초라하기만 한 인간. 더 크게 보면 영화 아마게돈에서 처럼 지구 밖에서 날라오는 거대한 유성들. 시간의 문제이지 충돌은 예측할 수도 피할 수도 없다고 하죠. 의술의 발달로도 이룰 수 없..
-
네이버손 가는 대로/그냥 2015. 4. 22. 16:56
네이버. 구글이 검색엔진으로만 알려져 있고, 해외에서는 이전 최강자인 야후의 벽을 넘어서고 있을 때. 야후와 구글이 정복하지 못한 몇 안되는 나라, 대한민국. 야후와 구글을 고전하게 했던 네이버와 다음. 한때, 인터넷계의 삼성전자라 불리며, 한국학생들이 외국학생들과 이야기하며, 우리는 다음과 네이버가 있어서 야후도 구글도 못들어 온다고 자랑스럽게 여기던 시절도 있었습니다. 네이버의 이후 행보는 따라가기 전략이었습니다. 다음이 카페로 히트를 치자, 블로그를 바탕으로 '카페'라는 이름을 써서 동일한 서비스를 합니다. 다음의 강한 반발이 있었지만, 법적다툼 끝에 카페는 다음만 쓸 수 있는 용어가 아니라는 판결이 나죠. 아쉬운 건 법원의 판결이 아닌 네이버의 전략이었습니다. 다음은 블로그 후발 주자로 카페라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