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 가는 대로
-
LED 산업 4. 휴대폰 LED손 가는 대로/그냥 2010. 9. 29. 09:25
4. 휴대폰 LED ▫ 휴대폰에 적용되는 LED: Sideview BLU, 카메라 플래시, 키패드 조명 등 - 2008년까지 LED시장은 휴대폰 장착용 LED를 중심으로 성장 • 소형 LCD에 적합한 LED BLU가 적용되면서 휴대폰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LED시장은 2008년 기준 전체 시장 규모 50억달러의 40%인 20억달러 규모로 성장[1] - 적용율이 매우 높아 단말기 시장 내에서 더 이상 시장의 확대는 어려움 - 단말기 시장 자체도 성장이 둔화 → 성장 크게 기대하기 어려움 ▫ LED BLU - 소형 LCD에 적용되기에 유리해 일찍부터 시장 확대 → 적용율 매우 높음 - 대체제 존재: 자체 발광이 가능한 AM OLED는 별도의 BLU를 필요로 하지 않아 AM OLED가 LCD를 본격적으로 대체..
-
LED 산업 3. LED LCD TV손 가는 대로/그냥 2010. 9. 28. 09:24
3. LED LCD TV ▫ LCD TV의 경우, 상반기 사상 최대의 호황을 누렸지만, 2010년 하반기 전망은 다소 부정적 - LCD TV는 전통적으로 3분기와 4분기, 즉 하반기가 계절적 성수기 • 2004년부터 2009년까지의 상반기 대비 하반기 출하 증가율 평균은 68% • 그러나 2010년 하반기 출하 증가율 전망치는 26%로서 과거 평균은 물론 금융위기가 있었던 2008년 34%보다도 낮은 수치 ▫ 2010년 상반기 LED TV 판매가 예상에 미치지 못하면서 재고조정 과정에 진입하고, 이에 따라 7월 이후 LED 업체들의 가동률이 급격하게 하락 - 유럽의 경기 둔화와 중국 수요 약화로 예상보다 LED TV 침투율이 약했음 • LED TV 가격이 일반 TFT-LCD TV 대비 50% 가까이 높은..
-
LED 산업 2. LED 조명손 가는 대로/그냥 2010. 9. 27. 09:24
2. LED 조명 1) 세계 LED 조명 시장 ▫ 세계 일반조명 시장규모[1] (단위: USD 억) 2007 2010 2012 2015 LED 조명 0 100 300 473 기타, 백열등 670 710 600 530 형광등 340 410 500 650 - 2010년 세계 조명시장은 약 1,200억달러(140조원) 규모인 것으로 추정되며, 이 중, 램프가 20%, 등기구(Fixture)가 70%, 부품(Components)이 10% 비중을 차지 - 세계 조명시장 규모는 2012년에는 1,400억 달러(160조원), 2015년에는 1,650억달러(190조원)이 될 것으로 전망[2] - 조명용 LED 시장은 2012년을 전후로 한 각국 정부의 백열등 사용 금지 정책에 따라 향후 성장 가능성 큼 • LED 조명..
-
LED 산업 1. LED 산업손 가는 대로/그냥 2010. 9. 21. 18:05
1. LED 산업 1) LED 개념 ▫ LED 개념 및 발광원리 - LED(Light-Emitting Diode)는 p-n 접합 다이오드의 일종으로 n층의 전자와 p층의 정공(hole)이 결합하면서 그 에너지 차이만큼의 빛과 열 에너지가 발산되는 전기발광 효과를 이용하는 반도체 소자임 • 순방향 전압 인가시 n층의 전자와 p층의 정공(hole)이 결합 하면서 전도대(conduction band)와 가전대(valance band)의 높이 차이(에너지 갭)에 해당하는 만큼의 에너지를 발산하는데, 이 에너지는 주로 열이나 빛의 형태로 방출되며, 빛의 형태로 발산 되면 LED가 됨 • 발광은 p-n 접합에서 전자가 가지는 에너지가 직접 빛 에너지로 변환되기 때문에 거시적으로 열이나 운동에너지를 필요로 하지 않음..
-
[산업메모] 스마트폰손 가는 대로/그냥 2010. 9. 20. 07:31
시장조사차(?) 몇군데 대리점을 방문하였습니다. 언론기사나, 애널리스트 리포트는 국내기업에 우호적인 내용이 대부분이기에 과연 정말 그런가 궁금해서.... 몰아서 방문했던 것은 아니고... 오랜 기간 동안 시간날 때마다 한두군데씩... 그렇다고 몇백군데 다닌 것은 아니니 통계적으로는 대표성이 있다고는 할 수 없겠지만... 느낀 바를 적으면 다음과 같습니다. 체감 신규가입 점유율은 70%이상이 SKT로 스마트폰 시장이 커지면서 쏠림현상이 심화되고 있다고 합니다. 사실 스마트폰 시장만 보면 70%도 적게 잡았다고 할 수 있겠죠. 노력은 하고 있지만 아이폰 외에는 여전히 고전하고 있는 KT나, '아무도 안 찾는' 스마트폰만 갖고 있는 LG U+를 보면... 3~4만원대를 사용하던 고객들이 스마트폰으로 바꾸면 4..
-
배의 존재 이유손 가는 대로/그냥 2010. 9. 16. 08:19
배는 항구에 있을 때 가장 안전하지만, 그것이 배의 존재이유는 아니다. - 괴테 - 오랜만에 들어오는 것 같습니다.... 바빴다면 바쁘기도 했지만... 그보다 이유없이 블로그에 오기 싫었던게 가장 컸죠. 오늘 받은 메일에 딸려 있던 짧은 한 줄. 극단적 리스크를 추구하다가 위기를 맞고, 그러고 나면 반대로 시장은 극도의 리스크 회피 성향을 보이게 됩니다. 항구에 있을 때가 가장 안전하지만 그것이 배의 존재 이유가 아니듯 리스크는 회피 대상이 아니라 관리 대상이라는 당연한 말이 떠오릅니다. p.s 지금 시장이 극도의 리스크 성향을 보이고 있다는 뜻은 아닙니다. 메일에 딸려있던 한 줄을 보며 떠오른 원론적 이야기일 뿐입니다.
-
가장 어려운 언어손 가는 대로/그냥 2010. 9. 5. 23:12
5개 언어에 능통하고, 제가 영어하는 것 보다 좀더 잘하는 수준으로 하는 말까지 치면 7개 국어를 할 수 있던 한 사람이 있었습니다. 남들은 영어 하나 제대로 하기 힘든데 어떻게 그렇게 많은 언어를 잘 할 수 있냐고 묻자 그 사람은 말했습니다. 처음 3개 언어까지는 어려웠는데, 이후에 하나씩 추가하는 것은 쉽다고. 언어라는게 아무리 달라도 어떤 규칙이 있다고 합니다.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3개 국어 정도 말할 수 있으면 그 규칙이라는 것을 알게 되고, 그러면 이후에 새로운 말 배우는게 쉽다는 설명입니다. "그래도 배울 때 더 어려운 언어도 있고, 쉬운 언어도 있을 텐데..." "그건 그렇죠." "그럼 지금까지 익힌 말 중에 가장 어려운 언어는 뭔가요?" "그건 바로..... 아내의 언어입니다." 아내의 ..
-
더비싼 9호선 급행?손 가는 대로/그냥 2010. 9. 1. 23:22
지하철 9호선. 급행열차가 들어오고 있었습니다. "다음 꺼 타자." 옆에 서있던 사람이 친구에게 말합니다. "급행도 고속버스터미널 가지 않아?" 친구가 묻자 그 사람은 대답합니다. "가긴 하지만 더 비싸." "더 비싸?" "그럼. 원래 급행은 완행보다 비싸잖아." 남의 대화에 참견하는 것을 좋아하지는 않지만... 그날따라 그냥 나도 모르게 대화에 끼여들었습니다. "저... 급행도 가격이 같아요." 그러자 비싸다고 했던 그분이 벌컥 화를 냅니다. "아니, 이 사람이. 잘 모르면 가만히 있지." "그게 아니라..." "가격이 같으면 다 급행 타지 누가 완행을 타겠소?" "그건 멈추는 역이 달라서..." "그러니까. 급행은 더 조금 서니까, 더 비싸게 받아야지. 지하철 회사에서도 돈을 벌거 아니오?" 난 그냥..